OS

· OS
파일file이란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파일을 이루는 정보에는 이름과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파일 관련 부가 정보인 속성attribute[ 또는 메타데이터metadata ]이 있습니다. 파일 속성attribute 속성 이름 의미 유형 운영체제가 인지하는 파일의 종류 크기 파일의 현재 크기와 허용 가능한 최대 크기 보호 어떤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지 나타냄 생성 날짜 파일이 생성된 날짜 마지막 접근 날짜 파일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날짜 마지막 수정 날짜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 생성자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 소유자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위치 파일의 보조기억장치상의 현재 위치 파일 유형(확장자extensio..
· OS
메모리 관리 기법의 하나입니다. 컴퓨터에서 이용 가능한 기억 자원을 이상적으로 추상화하여 사용자에게 매우 큰 메모리로 보이게 만들고, 각 프로그램에 실제 메모리 주소가 아닌 가상의 메모리 주소를 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멀티 태스킹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며, 실제보다 큰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스와핑 swapping 대기 상태가 된 프로세스나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프로세스들을 임시로 보조기억장치 일부 영억으로 쫓아내고, 그렇게 해서 생긴 메모리상의 빈 공간에 또 다른 프로세스를 적재하여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스왑 영역(swap space) : 스왑 아웃되는 프로세스들을 보관하는 보조기억장치(secondary storage, Backing storage)의 일부 영역 스왑 아웃(s..
· OS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남이 가진 자원을 요구하면서 양쪽 모두 작업 수행을 할 수 없이 대기 상태로 놓이는 상태를 교착상태 Deadlock이라고 합니다.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교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문제 상황입니다. 철학자는 앞의 음식을 먹기 위해선 양쪽의 포크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순서 계속 생각을 하다가 왼쪽 포크가 사용 가능하면 집어든다. 계속 생각을 하다가 오른쪽 포크가 사용 가능하면 집어든다. 왼쪽과 오른쪽 포크를 모두 집어들면 정해진 시간동안 식사를 한다. 식사 시간이 끝나면 오른쪽 포크를 내려 놓는다. 오른쪽 포크를 내려놓은 뒤 왼쪽 포크를 내려 놓는다. 다시 1번부터 반복한다. 여기서, 모든 철학자가 동시에 왼쪽 포크를 집어들면 어떤 철학자도 식사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
· OS
동기화의 의미 프로세스 동기화란 프로세스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행 흐름을 갖는 모든 것(프로세스, 스레드 등)은 동기화의 대상입니다. 실행 순서 제어 : 프로세스를 올바른 순서대로 실행하기 상호 배제 :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원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 허용 예시 : 은행 계좌 문제, 생산자와 소비자 문제 공유 자원과 임계 구역 공유 자원이란 은행 계좌의 잔액같이 프로세스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원으로 전역변수, 파일, 입출력장치, 보조기억장치도 공유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유 자원에 접근하는 코드 중 동시에 실행하면 문제가 발생하는 코드 영역을 임계 구역이라고 합니다. 레이스 컨디션 잘못된 실행으로 인해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 다발적으로 임계 구역의 코드를 실행..
· OS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CPU 자원을 배분하는 것을 CPU 스케줄링(CPU scheduling)이라고 합니다. 프로세스 우선순위 프로세스는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데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란 빨리 처리해야 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입출력 작업이 많은 프로세스가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그 이유는 CPU 집중 프로세스가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 보다 CPU를 많이 사용해야 하는 프로세스인데 이 둘이 동일한 빈도로 CPU를 사용하는 것은 비합리적입니다. 따라서 이 둘이 동시에 CPU 자원을 요구했다고 가정하면 입출력 집중 프로세스를 가능한 한 빨리 실행시켜 입출력 작업을 끝낸 뒤, 그다음 CPU 집중 프로세스에 집중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프로세스 우선순위..
· OS
개발자가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개발자들이 만든 프로그램은 하드웨어가 실행하고, 그 하드웨어를 조작하는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입니다. 운영체제는 현재 하드웨어의 상태, 코드의 실행 상황, 하드웨어 상에서의 오류 등을 우리에게 상세히 알려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프로그램을 더 깊이 이해하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운영체제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요소들(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을 가리켜 시스템 자원, 혹은 줄여서 자원이라고 합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위해 반드시 자원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실행할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이라고 합니다. 운영체제는 여느..
· OS
프로세스(Process) 실행 파일(.exe)이 실행되어 메모리에 적재된 인스턴스이다. 쉽게 말해 컴퓨터 내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일컫는 용어이다. 프로세스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스레드로 구성된다. 프로세스가 밧줄이라면 스레드는 밧줄을 이루는 실이라고 할 수있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 :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있는 물리적인? 실행 코드를 뜻하고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메모리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작업단위를 지칭한다. 프로세스 분류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가 보는 앞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데몬(daemon) : 유닉스 체계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정해진 일만 수행하는 백그라운드 서비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서비스라고 부릅니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가 보지 못..
AllAche
'OS' 카테고리의 글 목록